<총신대 여성 이사 선임 관련 성명서>

총신대와 합동총회는 교육부의 여성 이사 선임을 성별에 관계 없이 유능하고 신실한 일꾼들을 학교 운영에 참여시키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교육부가 총신대(이재서 총장) 임시이사 체제를 끝내고 정이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3명의 여성 이사를 선임한 것에 대해 합동총회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원우회가 완강히 반대하고 있다. “이사와 감사는 본 총회에 소속한 목사 및 장로중에서 선임한다”는 총신대학교 정관을 위배했다는 것이다.

여성에게 목사와 장로 안수를 주지 않는 합동총회의 현실에서 생각할 때 현재의 정관은 여성을 학교 운영 이사에서 원천적으로 배제하는 규정이다. 교육부에서 파송한 사학분쟁조정위원회(사분위)에서는 지난 해부터 총신대학교의 정이사 체제 전환을 논의하면서 이사의 성비 균형을 맞출 것을 권고한 바 있다. 이를 위해 이사의 자격을 규정한 정관을 “총회에 소속한 세례교인”으로 수정해야 한다는 많은 의견이 있었다. 그러나 총신대학교와 합동총회는 정관 개정을 하지 않았고, 여성 이사 추천도 하지 않다가 이번 교육부에 의해 타교단 여성 이사 선임 및 승인 상황을 맞게 된 것이다.

합동총회가 여성 목사와 장로를 안수하지 않는 것은 신학적으로 더 많은 논의가 있어야겠지만, 합동측 산하 총신대학교 운영에 여성 이사가 참여하는 것은 신학적 논의와 아무런 관계가 없다. 합동총회 내에는 교단의 개혁주의 신학 전통에 기반 하여 대학 운영에 관한 안목과 전문성을 갖춘 여성 신학자들과 인재들이 많이 있다. 교단 내 여성들이 총신대학교 운영 이사로 참여하여 학교 발전에 기여할 수 있게 하라는 것은 교육부의 요구이기 이전에 합동총회 내 구성원 다수의 요청사항이기도 하다.

대학과 사회 각 분야의 많은 공공기관은 성별의 차별 없이 유능하고 신실한 일꾼들을 등용하고 있다. 이는 헌법의 규정사항 일 뿐 아니라 현재의 시대 정신이기도 하다. 여성과 남성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동등하게 창조된 것을 믿는 기독교의 교회 및 관련 기관들은 현재의 시대 정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실천하는 것이 마땅하다. 여성을 이사에서 배제하는 것이 총신대학교와 합동총회의 정체성이어서는 안된다. 총신대학교와 합동총회는 이번 교육부의 여성 이사 선임을 성별에 관계없이 유능하고 신실한 일꾼들을 학교 운영에 참여시키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2021년 3월 2일
(사) 기독교윤리실천운동



관련 글들

2025.07.25

[기윤실 성명] 한국 교회는 오륜교회 직원 과로사를 계기로 드러난 시대착오적 노동 관행을 극복하고 노동법 준수와 동역 의식을 확립해가야 합니다

자세히 보기
2025.07.22

[기윤실 성명] 이재명 정부는 고위공직자 임명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를 성찰하고 인사 철학과 검증 시스템을 새롭게 해야 합니다

자세히 보기
2025.07.17

💌[중간보고] 선생님 안녕하세요. 정병오입니다. 놀랍게도 신규 후원과 증액으로 88%가 채워졌어요. 저의 지난 겨울 기도와 응답도 나누고 싶습니다. (+후원 상황/명단 보고, 참여하기)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