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의 시대, 교회가 청년 보듬어야”

 

불안이 가중되는 시대, 기독 청년들 역시 불안감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을 요청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기독교윤리실천운동(이사장:지형은 목사, 기윤실)은 지난 3일 높은뜻광성교회(담임:이장호 목사)에서 ‘불안해도 괜찮아, 함께 걷는 WAY’를 주제로 기윤실 청년센터WAY 출범 5주년 기념 콘퍼런스를 개최하고 사역 성과를 공유했다.

이날 ‘기독 청년의 심리적 불안 실태와 상담 효과 및 과제’를 주제로 발표한 곽은진 WITH 공동소장은 국내 기독교 청년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심리상담 참여 데이터를 기반으로 청년들의 심리상태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기윤실 심리상담 참여자 248명 중 여성이 175명으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26~35세 사이의 청년이 전체의 약 65%로 나타났다. 참가자들이 가장 빈번하게 호소했던 심리문제는 ‘불안’(46%)으로 밝혀졌으며 ‘대인관계 어려움’(43%), ‘우울’(33%), ‘가족 문제’(30%), ‘성격 문제’(21%), ‘진로 고민’(18%)이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청년들은 PTSD나 자살 충동, 중독과 학업 스트레스를 토로했다.

곽은진 공동소장은 “청년들이 겪고 있는 심리 문제는 낮은 자존감과 자기 효능감, 사회적 고립감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진로와 결혼, 가족이나 직장 내 대인관계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해 청년들을 괴롭히고 있다”며 “심지어 신앙이 내면 갈등을 심화하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불안함을 느끼는 자신에 대해 신앙적 죄책감을 느끼는 것이다. 교회 내 접근이 미흡함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건강한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상담과 함께 교회의 연계가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이어 ‘기독 청년의 경제적 불안의 실태와 대응방안’을 주제로 발표한 김서로 청년희망재무상담소 윙스 소장은 청년들이 겪는 문제 중 가장 큰 문제로 ‘경제적 불안’을 꼽았다. 경제활동을 하고 있어도 미래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경제적 불안을 초래한다는 것.

김서로 소장은 “취업에 대한 압박감과 어렵게 취업했지만 평균 재직기간이 35개월인 점 등이 청년들의 경제적 불안을 가중한다”면서 “때문에 소비를 하는 과정과 자산을 형성하는 과정에서도 자신이 잘하고 있는지에 대한 확신을 얻지 못한다. 결국 청년들은 무리하게 주식이나 코인 등에 투자하게 된다”고 꼬집었다.

김 소장은 경제적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공동체의 위로와 지원’을 제시했다. 그는 “교회가 청년들이 경제적 불안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부축해야 한다”며 “또한 말에서 그치지 않고 ‘청년 희망기금’이나 ‘청년 학사관’ 등 사역을 전개해 실천적 사랑을 베풀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청년상담센터 위드는 1대1 상담을 제공해 기독 청년들의 심리 및 관계 회복 등을 돕는다. 청년희망재무상담소 윙스는 상담과 교육을 통해 경제적 불안과 어려움을 겪는 기독 청년들의 회복과 자립을 지원하고 있다.

원문 보기


관련 글들

2025.07.08

[언론보도] 기독 청년의 심리적 불안, 가족관계의 어려움에서 비롯 (2025/7/8, 뉴스파워)

자세히 보기
2025.07.04

[언론보도] 기독 청년 ‘불안·우울·부채’ 다중 압박에 갇혔다 (2025/7/4, 기독신문)

자세히 보기
2025.07.03

[언론보도] 교회 다녀도 떨치기 어려운 ‘불안’, “출구 있을까요” (2025/7/3, 국민일보)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