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교단 총회가 보여준 교회의 현주소, 본질을 위한 과제

 

이른바 ‘아스팔트 기독교 우파’로 꼽히는 전광훈과 손현보가 장로회 주요 교단 총회의 헌의안에 등장했다. 두 사람은 12·3 불법 비상계엄 이후 내란을 옹호하며 집회를 이어왔다. 이에 대한 신학적 판단을 요청하는 안건이 제출됐고, 예장통합은 1년간 전광훈 씨에 대한 이단성을 조사하기로 했고, 예장합동은 처리 요청을 기각했다. 예장고신은 손현보 목사의 정치 활동을 1년간 연구해 내년 총회에서 보고하기로 했다.

전광훈 씨의 신성 모독과 폭력성, 정치권과의 유착은 수년째 이어지고 있고, 손현보 목사의 편향된 설교와 예배의 정치 도구화도 오래전부터 문제였다. 그런데도 총대들이 이를 별다른 논의 없이 기각하거나 1년이나 더 연구가 필요하다 한 결정은, 성도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기독교 신뢰 추락의 심각성을 생각할 때 납득하기 어렵다. 이는 신학적·영적·역사적·사회적 분별력을 잃은 집단의 무책임과 게으름에 기반한 결정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하나님의 이름을 모독하고 극우적 행태로 교회와 사회를 교란하는 자, 강단을 정치 선동의 장으로 만들며 설교를 빙자해 차별과 혐오, 거짓과 조롱을 쏟아내는 자에게 한국교회와 교단 총대들은 이렇게 관대한가? 두 사람의 행태는 한국 사회에 덕이 되지 못했고, 오히려 해로웠다. 법치와 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했을 때 시민들은 광장에서 정의와 평화, 평등을 외쳤다. 그러나 전광훈과 손현보는 광장의 의미를 왜곡하고 훼손했다. 그들의 광장에는 공공성도 사랑도 없었고, 오직 폄훼와 선동, 기독교 이기주의의 온상만 남았다.

12·3 불법계엄 이후 사회적 혼란에 대응하고 시대에 필요한 예언자적 메시지를 선포할 공적 책무를 가진 종교로서 한국교회는 어떤 태도로 공적 영역에 참여할 것인지, 한국사회와 기독시민들을 향해 어떤 소망의 복음을 전할 것인지에 대해 진지하게 기도하고 고민했어야 한다.

그러나 슬프게도 전광훈과 손현보의 말과 영상이 오늘 한국교회의 메시지로 대표되고 있다. 두 사람의 반성경적, 반교회적, 반사회적인 행보에도 불구하고 이번 교단 총회에 총대로 참석한 대다수의 목사, 장로들은 이에 대한 판단을 내버리고 유예 기간을 줌으로써 이들을 일면 용인하고 한편, 동조하며 감싸고 있음을 보여줬다. 두 사람을 목사라고, 한국교회의 일부라고 하는 것에 수치심과 분노를 느끼는 수많은 청년과 성도들의 고통을 철저히 외면한 처사이며, 한 번 더 시험에 들게 한 것이다. 한국교회의 지나온 길을 돌아보면, 위기는 늘 외부 환경의 변화나 압력 때문이 아니라 내부의 부패와 혼미함에서 비롯됐다. 예를 들어 국가에서 목회자 납세를 시행하는 일, 코로나19 시절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환으로 예배 인원을 제한하는 일, 실정법을 위반한 목사를 구속하는 일, 어떤 정당이나 정파가 집권하는 일로는 결코 주님의 교회가 망하지 않는다.

한국교회 안의 들보를 보지 못하고 아무런 자성 없이 애먼 곳에서 전광훈과 손현보를 비호하며 선을 긋지 못하는 모습은 한국교회가 얼마나 현실 인식과 동떨어져 있는가를 여실히 보여준다. 이처럼 청년들, 성도들, 시민들, 현실과 동떨어진 한국교회 현주소의 원인은 단연, 50~60대 이상 중·노년 남성 목사와 장로들이 99%를 차지하는 교단 총회 구성에 있다. 세대와 경험이 동질화 된 집단의 의사결정은 협소하고 편중될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과연 이 총대들이 한국교회를, 성도들의 입장을 대표할 수 있는가 하는 물음을 강력하게 던져야 한다. 여성 안수, 여성 총대 할당제가 받아들여지지 않는 현실에서 당장 총회 구성의 변혁이 어렵다면, 각 위원회나 임원회가 교회 내 다양한 세대와 성별 구성원들과 교계 전문가들로부터 다층적, 다각적 의견을 청취하고 수렴할 수 있도록 공청회 등 공론의 장을 정식적으로 마련하는 것부터라도 변화를 시작해야 한다.

본회퍼는 “교회는 타자를 위해 존재할 때만 교회이며, 사회에 관여할 때 지배가 아닌 도움을 주고 섬김으로써 함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교회는 교회 됨의 본질인 하나님의 계시와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하는 제자 공동체로서의 정체성을 회복해야 한다. 집단 이기주의와 폐쇄성을 내던지고 선과 덕을 행함으로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좋은 이웃이 돼야 한다. 이념과 기득권에 사로잡혀 거짓과 선동으로 복음을 가리는 목사와 교회는 결국 고립되고 사라지게 될 것이다. 고통받고 있는 약자들을 품는 한국교회, 불평등하고 불의한 사회 문제들에 예수를 닮은 목소리를 내고 행동하는 한국교회, 청년과 청소년들이 자부심과 희망을 품고 떳떳하게 다닐 수 있는 상식적이고 복음적인 한국교회로 거듭나기를 바란다.

원문 보기


관련 글들

2025.09.27

[언론보도] “손현보 징계 통해 교회의 사회적 신뢰 회복해야” (2025/9/27, 교회와신앙)

자세히 보기
2025.09.23

[언론보도] "고신총회, 종교탄압 운운하지 말고 손현보 목사 징계로 교회 명예 회복하라!" (2025/9/23, CBS 뉴스)

자세히 보기
2025.09.23

[언론보도] "손현보 목사 옹호는 예장고신 정체성 부정 행위…총회서 징계하라" (2025/9/23, 뉴스앤조이)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