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는 우리에게 주일과 안식일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하게 한다. 역사를 돌아보면, 그리스도인들은 유대인들이 지켰던 안식일의 그 엄격함과 복음의 자유를 주장했던 바울의 생각 사이를 오갔다. 2천 년의 역사를 이렇게 단순하게 요약한다는 것이 어불성설일지 모르지만, 예배일로서의 일요일, 또는 주일은 사회적 변동에 큰 영향을 받았다. 신앙이 권력이 되고 교권이 국가적 권력이 될 때마다 주일은 예배의 날에서 안식의 날로, 아니, 다른 말로 하면 억압의 날로 변하곤 했다. (본문 중)

조성돈(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목회사회학)

 

바울을 지나면 성경 시대에서 교회사의 시대로 넘어온다. 이 시대의 가장 큰 특징은 유대 그리스도인들과의 단절이다. 이 시대부터 기독교는 유대교의 아류가 아니라 전혀 다른 종교를 추구하게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안식일을 대하는 태도의 차이다. 바울의 서신서를 보면 그래도 안식일과 그리스도인의 관계에 대한 고민이 이어진다. 그런데 요한계시록부터는 전혀 다른 개념이 나온다. 바울이 이야기하고 있던 ‘첫날’의 개념은 사라지고 ‘주의 날’(계1:10), 즉 ‘주일’이라는 개념이 나온다.

첫날이라는 개념은 유대인들의 안식일(Sabbat)을 기준으로 하는 주간 개념의 한 부분이다. 그러나 주의 날(the Lord’s Day)이라는 개념은 예수님의 부활과 관련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예배를 위해서 구별된 날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었다. 이것은 기독교가 유대교의 영향력을 벗어나 이방 지역으로 퍼져나가며 나타난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할 수도 있고, 거꾸로 그러한 상황에서 유대교와의 단절을 통해 세계화의 경향을 더욱 확대해 나가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요한계시록과 그렇게 멀지 않은 2세기 초에 쓰인 이그나티우스의 마그네시아서를 보면 이런 경향은 더 짙어진다. 이그나티오스는 안식일과 예배일로서의 ‘주의 날’을 대비시킨다. 주의 날을 지키는 것은 유대교의 율법주의에서 벗어나는 일로 보았다. 이로써 복음이 무엇인지를 더욱 선명하게 한다. 즉, 복음이 주는 은혜, 그리고 자유에 의한 삶을 강조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그는 안식일 준수는 유대교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정죄한다. 즉, 유대교뿐만 아니라 유대적 기독교와도 단절을 선언한다.

이외에도 2세기에는 안식일에 대비되는 기독교의 예배일에 대한 논의가 활발했던 것 같다. 초기 기독교 문서인 바나바서에는 안식일 다음 날인 제8일에 대한 논의도 나온다. 주의 날 개념에 예수의 부활과 함께 새로운 창조가 시작된 날이라는 의미가 더해진 것이다. 그런데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는 변화는 주후 150년경 유스티누스에 의해서 쓰인 제1 변증서에 나오는 ‘일요일’ 명칭이다. 일요일은 당시 로마의 세계에서 일반적으로 쓰인 1주간 중 하루이다. 이는 한국어로도 그 뜻이 명확하게 나타나듯 ‘태양의 날’(the day of the sun)이다. 이는 이방 종교의 배경이 그대로 담겨 있는 명칭이기도 하다. 유스티누스는 그 사회에서 일주일 중 예배를 위해 모일 수 있던 날을 지칭했던 것 같다. 아니, 정확히는 그리스도인들이 정규적으로 모이는 그날의 이름을 당시 사람들이 쓰던 언어로 표현한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신학화를 하는데, 하나님이 창조의 첫날 빛을 만드셨다는 것, 그리고 부활의 주가 상징하는 빛의 의미를 덧붙였다. 조금 억지스러운 부분이 있지만, 요즘 이야기하는 토착화와 같은 것으로 보면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의미 있는 것은 유스티누스는 ‘안식’의 개념은 정죄했다는 점이다. 이 부분을 눈여겨보아야 한다. 당시 박해 가운데 있던 기독교인들이 주일을 안식일로 여겨 쉰다는 것은 죽음을 각오하는 일이었다. 즉 ‘내가 그리스도인이요’하고 공개적으로 광고하는 일이 된다. 그래서 아마 고육지책으로 주일을 노동을 온전히 쉬는 안식일이 아니라, 따로 시간을 정하여 공동 예배를 드리는 날로 여겼던 것 같다. 그리고 그에 맞는 신학적 작업들이 있었다고 봐야 한다.

 

 

크리스텐덤 시대의 안식일 회귀

이러한 경향에 반전을 이룬 것은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변동(Konstanische Wende)이었다. 321년을 기점으로 기독교는 로마에서 공인되었고, 일요일은 공휴일로 선포되었다. 이후 박해가 사라지고, 오히려 기독교가 국교의 위치로 올라서게 되니 환경은 모두 바뀌었다. 소위 크리스텐덤(Christendom)1)이 시작되었다. 교회와 국가는 서로 결탁하였다. 이것이 절정을 이룬 때가 카롤루스 대제(Kaiser Karl der grosse) 때이다. 그는 789년 법령으로 일요일을 예배와 휴식을 위한 날로 지정한다. 일요일에는 모든 육체노동이 금지되었다.

기독교 사회를 넘어 기독교 국가가 되었을 때, 예배일로서의 주일은 국가 권력에 기대어 다시 안식일이 되었다. 이것은 상당히 중요한 부분인데, 그것은 결국 안식일 개념이 율법주의적인 틀 속으로 다시 돌아갔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즉, 그 사회가 과거 이스라엘과 같은 신정국가 내지는 국가 공동체와 종교 공동체가 합일된 형태는 아니었지만, 기독교인들이 다수가 되고 나중에 기독교 국가로 발전했을 때 주일은 다시 억압의 형태로 변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종교개혁가들의 개혁적 발상

놀라운 것은 종교개혁이 이러한 안식일에 대한 율법주의적 이해를 깼다는 점이다. 루터는 일상의 신학에 기초하여 어느 특정한 날을 구별하는 것을 거부했다. 일주일 중 특정한 하루가 아니라 매일이 거룩한 날임을, 그래서 하나님의 말씀과 함께 그 뜻을 마음과 입에 담아야 함을 강조했다. 결정적으로, 그는 안식일을 포함한 성일로 지켜지는 날들은 구약 시대에 유대인들에게만 주어진 것으로 해석했다. 루터는 『대교리문답』에서 안식일 계명과 관련하여 ‘안식일은 그리스도인에게 관련된 것이 아니다. 다른 구약의 법령들과 같이 그것은 외적인 것으로 특정의 방법, 사람, 시간과 장소에 묶여 있다. 그러나 그리스도로 인하여 이 모든 것은 자유로워졌다’라고 적었다(82). 안식일은 복음의 실체이신 예수께서 오시면서 폐기된 것으로 보았다. 단지 안식일의 정신을 살려서 사회적 약자들의 휴식을 보장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 『대교리문답』에서는 ‘일주일 내내 일과 사역으로 수고하는 종과 하녀들에게 하루를 주어 쉴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이라고 한다(83). 또한 일요일 예배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일요일에 예배를 드리는 것은 편의에 의한 임의적 제도라는 입장이다. 그 동안 교회가 지켜왔던 날이기에 굳이 혼란을 감수하며 변경해야 할 필요는 없다고 한다(85).

칼뱅 역시 비슷한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기독교강요』에 따르면 그는 의식법에 따르는 안식일 준수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반대했다. 그는 심지어 일요일을 특별하게 지키려 하는 것을 ‘날을 미신적으로’ 지키는 것이라고 하며 비판하였다(II.8.31). 오히려 그는 안식일 준수는 그리스도인의 전 삶을 통해 꾸준히 추구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또, 일요일에 예배를 드리는 것은 단지 예배를 드릴 수 있는 특정한 공통의 시간이기 때문으로 보았다. 즉, 교회가 편의와 질서를 위해서 정했다는 입장이다. 거기에는 어떤 신학적 이유도 안식일 계명에 기댄 연결도 없다. 그렇다고 칼뱅에게 이날이 아무 의미가 없는 날은 아니다. 그는 안식일은 폐지되었으나 일정한 날에 모여 말씀을 듣고, 신비의 떡을 떼며, 공중 기도를 드려야 함을 강조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하인들과 노동자들의 노고를 쉬게 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II.8.32).

결국 종교개혁가들은 특정한 날을 거룩하게 지키려는 것, 또는 엄격하게 행위를 통제하려는 것은 복음에 어긋남을 강조한다. 심지어 칼뱅은 그러한 시도를 미신이라 하며 철저히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안식일이 주었던 의미, 즉, 하나님을 기억하며 예배드리는 것, 그리고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배려는 유지하여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청교도의 엄숙주의

종교개혁의 맥을 잇는다고 할 수 있는 청교도들은 종교개혁가들, 특히 그들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칼뱅과는 다른 입장을 나타냈다. 그들은 안식일이 창조 시에 세워진 제도이기에 영구히 지켜져야 할 날로 이해했다. 제7일의 개념이 아니라 제8일의 개념으로 이해하기는 했지만, 이날을 그리스도인의 안식일로 지켰다. 특히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1648년)에서 이러한 생각은 확고히 드러났다. 그리고 이들은 1677년 의회에서 주일준수법령을 제정했다. 어떤 사람도 이날에는 장사나, 세상적인 노동이나, 정규적인 직업의 일을 할 수 없도록 했다. 심지어 이를 어길 시에는 엄격한 형벌을 내리도록 했다. 이렇게 주일은 다시 안식일의 모양으로 변하게 되었고, 무엇보다 국가 권력에 의해 통제되었다.

역사는 우리에게 주일과 안식일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하게 한다. 역사를 돌아보면, 그리스도인들은 유대인들이 지켰던 안식일의 그 엄격함과 복음의 자유를 주장했던 바울의 생각 사이를 오갔다. 2천 년의 역사를 이렇게 단순하게 요약한다는 것이 어불성설일지 모르지만, 예배일로서의 일요일, 또는 주일은 사회적 변동에 큰 영향을 받았다. 신앙이 권력이 되고 교권이 국가적 권력이 될 때마다 주일은 예배의 날에서 안식의 날로, 아니, 다른 말로 하면 억압의 날로 변하곤 했다.

한국교회는 어쩌면 청교도들의 엄격함을 따라간 것 같다. 굳이 종교개혁가들의 그 혁명적 생각을 외면하고 청교도들이 국가 권력을 장악했던 한때의 관습에 그 뿌리를 이었다. 물론 그러한 엄격함과 신앙에 대한 절대적 헌신이 한국교회를 순수하게 지켜왔던 것에 대해서는 존경을 표한다. 하지만 그것이 율법이 되고 오히려 얽매임인 된다면,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할 때이다. 특히, 기독교가 다수가 아닌 디아스포라 상황에 존재하는 한국교회의 여건들을 살펴보며, 우리가 이때에 무엇을 지켜야 하는지를 숙고해야 한다.

 


1) 기독교가 지배적 세력이 된 영역(편집자 주).

 

<좋은나무>글이 유익하셨나요?  

발간되는 글을 카카오톡으로 받아보시려면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친구추가’를 해주시고

지인에게 ‘공유’하여 기윤실 <좋은나무>를 소개해주세요.

카카오톡으로 <좋은나무> 구독하기

 <좋은나무> 뉴스레터 구독하기

<좋은나무> 카카오페이 후원 창구가 오픈되었습니다.

카카오페이로 <좋은나무> 원고료·구독료를 손쉽게 후원하실 수 있습니다.
_
_
_
_

<좋은나무>에 문의·제안하기

문의나 제안, 글에 대한 피드백을 원하시면 아래의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편집위원과 필자에게 전달됩니다.
_

 


관련 글들

2025.01.08

인구 소멸 지역의 목회(이요한)

자세히 보기
2024.12.16

“워싱턴을 예수에게”(1980)와 “10‧27 한국 교회 200만 연합예배 및 큰 기도회”(배덕만)

자세히 보기
2024.12.11

교회 성폭력: 무너진 믿음, 다시 세우는 용기(박신원)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