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집 정보


기윤실 자발적불편운동 브로슈어

“무조건 편리보다 이웃과 약자를 위한 자발적 불편”

기윤실 자발적불편운동 브로슈어를 제작했습니다. 본 브로슈어는 누구나 복사해서 사용하실 수 있으면, 인쇄본이 필요하신 경우 기윤실로 요청하시면 협의하여 발송해 드립니다.

* 문의 : 02-794-6200, cemk@hanmail.net

기윤실_자발적불편운동_브로슈어(웹용).pdf

[나부터,지금부터,작은것부터] 2012년 자발적불편운동 한눈에 보기~
[다큐영상] 자발적불편을 선택한 사람들의 이야기

자발적불편  idea

WHAT | 기윤실 자발적 불편운동은 무엇인가요?
“자발적불편운동은 과도한 경쟁과 탐심으로 부패하고 불행한 한국사회에서 그리스도인들이 먼저 이웃과 약자를 위해 편리를 누릴 권리를 포기하고 양보하는 운동입니다. 가정과 직장, 교회와 학교 등 곳곳에서 환경, 인권, 에너지, 자원, 사회참여와 같은 다양한 주제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침들을 개발하고 공유합니다.”
WHY | 왜 자발적 불편운동이 필요한가요?
“우리사회는 너무 경쟁적입니다. 돈, 명예, 권력 같은 하급가치들은 한 사람이 많이 소유하면 다른 사람이 적게 가지게 되는데, 사랑, 자비, 지혜 같은 고급가치들은 한 사람이 많이 가져도 다른 사람이 적게 가질 필요가 없습니다. 그런데 우리사회는 고급가치들보다 하급가치들을 추구하기 때문에 너무 경쟁적이 되고,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합니다. 또, 이 경쟁과정이 불공정하게 진행될 경우 약자들이 결국 피해를 입게 되고, 이런 사람들이 많아지면 사회전체가 불행해지는 상황이 벌어지는 것입니다.(레가튬연구소 각국 번영지수 110개국 중 26번째, 생활만족도 104번째)”
WHO | 왜 그리스도인들이 자발적 불편운동에 참여해야 하나요?
“편하게 산다는 것 역시 나에게 돈이나 권력, 명예로 상징되는 힘이 있어야 합니다. 조금 손해를 본다는 말은 결국 돈이나 명예나 권력을 양보한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지요. 그리스도인들은 다른 사람의 이익을 위해 또 공익을 위해서 나 먼저 손해를 보고자 하는 마음을 가져야 하고, 이것이 성경의 정신이고 바로 예수님께서 보여주신 희생의 사랑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자발적불편운동을 시작합시다(신동식)
[QnA영상] 자발적불편운동, 이것이 궁금해요(손봉호)

자발적불편 action
○ 가정에서
– 혼수장만은 검소하게 하기
– 장바구니, 텀블러 늘 가지고 다니기
– 정기적인 정리정돈을 해서 필요한 물품과 과소비를 점검 해보기
– 먹을 수 있는 만큼의 음식만 조리하기
– 가족들이 다함께 자원봉사하기
– 재활용센터를 정기적으로 이용하기
○ 직장에서
–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 대기전력줄이기(모니터, 멀티탭)
– 내 집처럼 냉,난방기 아껴쓰기 
– 대중교통으로 출퇴근하기
– 세금계산서 또는 영수증 정직하게 주고받기
○ 교회에서
– 지역주민들에게 교회공간 개방하기
– 주보, 소식지 재생종이로 만들기
– 교회재정 투명하게 공개하기
– 교회 십자가 전기절약형으로 설치하고, 최소한으로 점등하기
– 교회 식당에서 친환경 농산물 또는 도농직거래 재료 사용하기
– 사회적기업 제품 사용하기
○ 학교에서
– 음식물 남기지 않기
– 발제자료, 과제물 등을 제출할 때 종이 절약하기(모아찍기,양면출력)
– 약한 친구 도와주기
– 분리수거 잘하기
– 정직하게 시험보기

[캠페인01] 가정에서 실천하는 자발적불편 52가지
[캠페인02] 직장에서 실천하는 자발적불편 59가지
[캠페인03] 교회에서 실천하는 자발적불편 50가지


[나부터,지금부터,작은것부터] 2012년 자발적불편운동 한눈에 보기~
자발적불편운동을 시작합시다(신동식)
[QnA영상] 자발적불편운동, 이것이 궁금해요(손봉호)
[다큐영상] 자발적불편을 선택한 사람들의 이야기
[캠페인01] 가정에서 실천하는 자발적불편 52가지
[캠페인02] 직장에서 실천하는 자발적불편 59가지
[캠페인03] 교회에서 실천하는 자발적불편 50가지

 

[이 게시물은 기윤실님에 의해 2013-03-13 19:18:31 공지사항에서 복사 됨]


관련 글들

12.3 계엄 이후 한국 교회 행태에 대한 회개와 원인규명을 위한 연속토론회 3차 자료집

2025.08.14 자세히 보기

12.3 계엄 이후 한국 교회 행태에 대한 회개와 원인규명을 위한 연속토론회 2차 자료집

2025.08.04 자세히 보기

12.3 계엄 이후 한국 교회 행태에 대한 회개와 원인규명을 위한 연속토론회 1차 자료집

2025.07.14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