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주 2-3회 발행되는 <좋은나무>글을 카카오톡으로 받아보시려면(무료),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친구추가’를 해주시고

지인에게 ‘공유’하여 기윤실 <좋은나무>를 소개해주세요

 

카카오톡으로 <좋은나무> 구독하기

 <좋은나무> 뉴스레터 구독하기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생겨난 학문이 국제정치학이며, 이 학문이 만들어 내는 상품이 바로 국제정치 이론이다. 다시 말하면, 국제정치학과 국제정치 이론은 전쟁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전쟁을 방지하고자 하는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조금 더 적나라하게 표현하면, 인류 역사에서 끊이지 않았던 전쟁이라는 비극이 국제정치학과 국제정치 이론을 낳았다고 할 수 있다. (본문 중)

박민중(국제정치 칼럼니스트)

 

‘전쟁’이란 단어는 학창 시절 수업 시간이나 정치권에서나 사용되는 용어처럼 보였다. 우리가 살고 있는 한반도는 전쟁이 잠시 중단된 휴전 상태라고 배우기는 하지만, 2025년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전쟁이란 단어는 피부에 별로 와닿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어, 북한이 핵실험을 하거나 미사일을 발사하면 외신들은 한반도의 전쟁 기운이 감돈다며 한국의 전쟁 가능성을 심각하게 다루지만, 정작 한국에 사는 시민들 중에는 (물론 불안을 느끼기는 하지만) 한반도에서 실제 전쟁이 일어날 것이라고 심각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 않다.

 

20세기 초·중반 유럽에서 있었던 두 차례의 전쟁과 1950년 한국전쟁은 분명 실재했고, 그 전쟁의 결과로 우리 한반도는 여전히 분단되어 있다. 나아가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시아는 남한과 북한을 중심으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의 갈등이 첨예한 상황이다. 이에 우리는 언제든지 전쟁의 가능성을 안고 현실을 살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전쟁이라는 단어가 피부에 와닿는 것은 아니다. 참 묘한 상황이다.

 

<사진1> 지난 3월, 러시아의 폭격으로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도브로필리아에 위치한 주택 8채와 쇼핑센터가 초토화됐다. (출처: 로이터)

 

그러나 최근 국제정치의 현실은 결코 평온하지 않다. 2022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전면적으로 침공한 이래 3년이 넘게 전쟁이 이어지고 있다. 2014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크림반도를 침공할 때만 하더라도 러시아의 군사적 행동은 러시아가 흑해로 진출하기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에 이 사태를 그 지역에 국한된 정치적 갈등 혹은 오래가지 않을 군사적 갈등 정도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다시 말해, 두 국가 사이의 전면전을 상상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았다. 그런데 8년이 흐른 후 러시아는 세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더니 두 국가는 3년 넘게 전면전을 치르고 있다.

 

<사진2> 전쟁으로 인해 폐허가 된 가자지구의 모습이다. (출처: SBS)

 

그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 2023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에서 전쟁이 일어난다. 몇 차례 미사일만 오가는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이 지상 작전을 벌이며 중동 전체가 위기를 맞는다. 이후 강력한 군사력을 기반으로 중동 지역의 핵심 국가인 이스라엘과 이란이 위험한 말을 주고받으며,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전쟁이 중동 전체의 전쟁으로 번지는 것은 아닌지 전 세계가 주목했다. 그러나 많은 전문가들은 이번에도, 이스라엘과 이란의 전면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적다고 보았다. 전쟁이 일어난다면 그것은 단순히 이 두 국가 사이의 전쟁에 그치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미국을 비롯한 강대국들의 이해관계를 고려할 때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은 적다는 것이었다.

 

<사진-3> 6월 13일, 이란의 미사일을 격추하기 위해 이스라엘의 아이언돔이 작동하는 사진이다. (출처: 중앙일보)

 

안타깝게도 많은 사람의 예상과 달리, 6월 12일 이스라엘은 이란을 침공한다. 당시 이스라엘의 공습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이사회의 발표를 명분으로 삼았다. 국제원자력기구 이사회는 이란이 핵시설로 의심받고 있는 3곳에서 IAEA의 핵 사찰 및 검증 의무를 준수하지 않았으며, 이로써 핵확산금지조약(NPT)상의 의무를 위반했다고 밝혔다. 이 발표가 있자마자 이스라엘은 이란의 핵무장 반대를 명분으로 전쟁을 일으킨 것이다. 그러나 전쟁이 발발하고 일주일 후인 6월 19일,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미국의 CNN과 한 인터뷰에서 이번 이스라엘의 군사적 행동은 분명하게 ‘정치적 결정’이며, IAEA가 발표한 것과는 상관이 없다고 밝혔다. 국제기구인 IAEA의 발표를 정치적으로 활용한 이스라엘과 연관되는 괜한 오해를 피하고자 선을 그은 것으로 보인다.

 

최근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전쟁을 보며, 전쟁이 과거의 역사가 아닌 오늘도 실재하는 현실이라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된다. 동시에 이스라엘이 이란을 침공하며 내세운 명분이 IAEA 그로시 사무총장의 주장과 배치되는 것을 보며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할 수 있다.

 

“도대체 전쟁은 왜 일어나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생겨난 학문이 국제정치학이며, 이 학문이 만들어 내는 상품이 바로 국제정치 이론이다. 다시 말하면, 국제정치학과 국제정치 이론은 전쟁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전쟁을 방지하고자 하는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조금 더 적나라하게 표현하면, 인류 역사에서 끊이지 않았던 전쟁이라는 비극이 국제정치학과 국제정치 이론을 낳았다고 할 수 있다.

 

기원전 5세기 아테네와 스파르타는 전쟁의 비극을 경험하는데, 투키디데스(Thucydides)는 이 비극적인 전쟁을 기록으로 남겼다. 이것이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이며, 저자는 이 책에서 이 두 도시 국가가 왜 전쟁을 하게 되었는지 분석한다. 이 분석은 이천 년이 흐른 지금도 주목받고 있으며, 오늘날 가장 영향력 있는 국제정치 이론 가운데 하나인 현실주의(Realism) 이론의 시발점으로 여겨진다.

 

20세기 전반, 유럽은 두 번의 전쟁을 경험한다. 세계 전쟁으로 불릴 만큼 당시 강대국들은 모두 이 전쟁에 참여했다. 전쟁의 비극은 숫자로 헤아릴 수 없을 만큼 참혹했으며, 이것은 전쟁의 원인을 연구하는 국제정치 이론 태동의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실제로 1919년 1차 세계대전이 끝난 해 영국 웨일스에 위치한 에버리스트위스 대학교(Aberystwyth University)에서 처음으로 국제정치학과(Department of International Politics)가 등장한다.1) 인류의 전쟁사와 21세기 확고한 학문 분야로 자리매김한 국제정치학(International Politics 혹은 International Relations)의 위상을 고려하면, 이 학문을 대학에서 가르치기 시작한 것이 불과 100여 년밖에 지나지 않았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지난 100여 년간 국제정치학은 다양한 국제정치 현상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그 속에서 반복되는 패턴을 도출해 그 패턴을 야기하는 원인을 찾아 이론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 과정을 통해 많은 발전을 이루었음에도 사회과학인 국제정치학은 근본적으로 자연과학과는 다르다. 즉, 국제정치학은 자연과학이 추구하는 법칙(law)을 만들 수 없다. 그러므로 국제정치 이론이 현실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럼에도 국제정치 이론이 우리에게 필요한 이유는, 현실적으로 모든 사회적 현상을 파악할 수는 없지만, 이론이라는 도구를 활용하면 특정 현실을 더 과학적으로 그리고 더 다양한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리하면, 전쟁으로 인한 파괴는 전쟁의 원인을 분석하는 국제정치 이론이 탄생과 발전의 배경이 되었다. 최근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전쟁을 보며, 단순히 드러난 수치보다 그 전쟁의 원인을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야 한반도에서도 참혹한 전쟁이 발발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지 않을까. 특히, 평화를 추구하는 교회와 신학에서는 이러한 논의가 더욱 중요하지 않을까?

 

그래서 다음 글부터는 주요 국제정치 이론들을 간략하게 다루고자 한다. 그 첫 번째로는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책으로 유명한 E. H. 카(Carr)의 저술 『20년의 위기』를 살펴볼 것이다.

 


1) 에버리스트위스 대학교 국제정치학과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 “1919년 세계 최초로 설립된 국제정치학과”. Aberystwyth university, “Why Aberystwyth?” at https://www.aber.ac.uk/en/interpol/outreach/whyaberystwyth/ (검색일: 2025.06.23.).

 

* <좋은나무> 글을 다른 매체에 게시하시려면 저자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기독교윤리실천운동(02-794-6200)으로 연락해 주세요.

* 게시하실 때는 다음과 같이 표기하셔야합니다.
(예시) 이 글은 기윤실 <좋은나무>의 기사를 허락을 받고 전재한 것입니다. https://cemk.org/26627/ (전재 글의 글의 주소 표시)

<좋은나무>글이 유익하셨나요?  

발간되는 글을 카카오톡으로 받아보시려면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친구추가’를 해주시고

지인에게 ‘공유’하여 기윤실 <좋은나무>를 소개해주세요.

카카오톡으로 <좋은나무> 구독하기

 <좋은나무> 뉴스레터 구독하기

<좋은나무>에 문의·제안하기

문의나 제안, 글에 대한 피드백을 원하시면 아래의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편집위원과 필자에게 전달됩니다.
_

관련 글들

2025.07.17

우리에겐 더 많은 자연이 필요하다(신재은)

자세히 보기
2025.07.16

서로의 사람됨을 간직하는 치매 돌봄(정경환)

자세히 보기
2025.07.10

울분, 한국 사회의 슬픈 그림자(곽은진)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