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 주류로부터 배척당했던 김교신이 이렇게 주목받는 이유가 무엇일까? (중략) 김교신은 일본강점 아래서 끝까지 민족적 지조를 지키다가 수난을 당한 사람이다. 일본강점 말기 많은 기독교 지도자들이 일본의 압력에 굴복하고 부일(附日)의 길을 걸었다. (중략)「성서조선」은 당국의 감시와 검열을 받아야 했고, 검열을 통과하지 못해 글을 싣지 못하거나 아예 결간 하는 경우도 있었다. 십자가 신앙을 견지했던 김교신이 국가유공자가 되어 국립현충원에 영면했다는 사실은 기독교 신앙과 민족에 대한 사랑을 어떻게든 연결해보려는 젊은 기독교인들에게 좋은 모범이 된다.(본문 중)

류대영(한동대 교수, 역사학)

 

김교신선생기념사업회는 올해 2월 「성서조선」 영인본을 다시 출간했다. 일본강점기인 1927년부터 1942년까지 발행되었던 「성서조선」이 다시 출간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그동안 전집간행위원회가 수집·정리한 「성서조선」을 영인하여 CD에 수록하기도 했고, 김교신의 글만 편집하여 전집 형태로 발간하기도 했다. 또한 함석헌이 「성서조선」에 수록했던 자신의 글 일부를 묶어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역사』를 출간하기도 했다. 이번에 출간된 영인본은 「성서조선」 전체를 7권의 책으로 묶었다는 것과, 4,400여 개의 표제어를 수록한 색인집을 따로 펴냈다는 점에서 특기할 만하다. 색인집은 앞으로 연구자들에게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2019년 2월에 출간된 성서조선 영인본. (출처: 김교신선생기념사업회)

 

「성서조선」 하면 거의 자동적으로 떠오르는 이가 김교신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성서조선」은 우치무라 간조(內村鑑三)의 한국인 제자 6명이 동인지 형식으로 발행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공동발행이었지만 1930년 5월부터는 김교신이 주필 자격으로 혼자 발행했다. 이때부터 폐간당할 때까지 「성서조선」은 사실상 김교신의 개인잡지였다. 물론 「성서조선」에는 김교신 이외에 여러 필자들의 글이 실렸다. 앞서 언급한 함석헌이 대표적이고, 그 이외에 송두용 등 다른 동인들과 유영모, 조성지, 이찬갑 등 독자들도 글을 게재했다. 그러나 김교신의 글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노평구가 「성서조선」에 실린 김교신의 글을 묶어 7권의 『김교신 전집』으로 펴낸 것을 보면 김교신과 「성서조선」의 관계가 어떠했는지, 김교신에게 「성서조선」이 무엇이었는지 짐작할 수 있다. 『김교신 전집』은 한문을 한글로 표기하고 어려운 한자어를 풀어 설명하여, 일반 독자들이 김교신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최고의 통로가 되고 있다. 『김교신 전집』 이외에도 김교신의 글을 일기, 설교, 수필 등 특정한 주제로 묶은 책들이 여러 권 출간되었다.

 

이처럼 김교신 저술이 다양한 형태로 출간되고 있는 것은 그만큼 그를 주목하는 사람이 많다는 뜻이다. 김교신은 시간이 갈수록 조명 받는 사람이다. 그동안 김정환, 서정민, 양현혜 등이 쓴 전기가 나왔으며, 그의 삶과 사상에 대한 다양한 논문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김교신 관련 강연회에는 요즘 기독교계 학술 모임에서는 유례가 없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기현상도 나타난다. 2010년대는 가히 ‘김교신 르네상스’라고 할 정도로 김교신은 많은 연구자와 젊은 기독교인들의 관심 대상이 되고 있다.

 

한국교회 주류로부터 배척당했던 김교신이 이렇게 주목받는 이유가 무엇일까? 여기에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어 보인다. 먼저, 김교신은 일본강점 아래서 끝까지 민족적 지조를 지키다가 수난을 당한 사람이다. 일본강점 말기 많은 기독교 지도자들이 일본의 압력에 굴복하고 부일(附日)의 길을 걸었다. 이에 비해서, 「성서조선」은 시종일관 민족과 성서에 대한 사랑을 결합시키려는 태도를 견지했다. 따라서 「성서조선」은 당국의 감시와 검열을 받아야 했고, 검열을 통과하지 못해 글을 싣지 못하거나 아예 결간 하는 경우도 있었다. 십자가 신앙을 견지했던 김교신이 국가유공자가 되어 국립현충원에 영면했다는 사실은 기독교 신앙과 민족에 대한 사랑을 어떻게든 연결해보려는 젊은 기독교인들에게 좋은 모범이 된다.

 

둘째, 김교신의 삶과 사상이 보여주는 독특한 매력이다. 김교신은 ‘복음적 유자(儒者)’였다. 그가 철저한 기독교인이되 또한 철저한 유자라는 독특함을 보였다는 것이다. 그는 기독교인이 되기 전 공자를 삶의 모범으로 삼고, 유교적 수신을 통해 공자와 같은 성인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 노심초사했던 사람이다. 유교적 수신과 경전공부를 통해 그는 극히 절제된 삶의 태도, 구도자적 자세, 목숨을 바쳐 공부하려는 각오, 옳은 것을 위해서라면 삶을 담보하는 용기 등을 체득했다. 그와 같은 선비적 태도는 기독교인이 된 이후에도 변함없이 지속되었다. 제자와 지인 등 김교신을 직접 만난 사람들은 물론이고, 저술을 통해 그를 뒤늦게 만나는 오늘의 우리도 그의 그런 모습에 경탄하게 되는 것이다.

 

그의 태도와 가치관은 사상과도 연결되어 있다. 김교신은 스승 우치무라의 무교회주의 사상을 가장 잘 이해하고 계승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그는 한국(민족)적이고 유교적인 사람이었다. 따라서 그의 기독교 사상은 기본적으로 우치무라의 무교회주의라는 바탕이 있었지만, 또한 한국적이고 유교적인 요소가 녹아 있는 독특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독특함은 ‘한국적 기독교’를 찾는 사람들의 주목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성서조선」창간 동인 6인. 앞줄 왼쪽부터 류석동, 정상훈, 김교신, 송두용, 뒷줄 왼쪽부터 양인성, 함석헌. 1927년 2월 촬영.(출처: <김교신 전집>)

 

김교신은 봄이 오면 생각나는 사람이다. 「성서조선」 폐간과 그와 지인들이 당한 감옥살이의 단초가 된 그의 권두언 “조와(吊蛙)”가 「성서조선」에 게재된 것이 1942년 3월이었다. 또한 그가 흥남 질소비료공장에서 한국인 노무자 복리를 위해 일하다가 발진티푸스에 감염되어 사망한 것이 1945년 4월이었다. 이제 한국교회는 그 이후 일흔네 번째 봄을 맞고 있다.

 

<좋은나무>글이 유익하셨나요?  

발간되는 글을 카카오톡으로 받아보시려면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친구추가’를 해주시고

지인에게 ‘공유’하여 기윤실 <좋은나무>를 소개해주세요.

카카오톡으로 <좋은나무> 구독하기

 <좋은나무> 뉴스레터 구독하기

<좋은나무>에 문의·제안하기

문의나 제안, 글에 대한 피드백을 원하시면 아래의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편집위원과 필자에게 전달됩니다.
_

<좋은나무> 카카오페이 후원 창구가 오픈되었습니다.

카카오페이로 <좋은나무> 원고료·구독료를 손쉽게 후원하실 수 있습니다.
_

 

 

관련 글 보기


3.1운동 바로 기념하기(손봉호)

우리가 몰랐던 또 다른 3.1운동 이야기(반태경)

길선주 목사와 3.1운동(옥성득)

3.1운동과 한국교회(이만열)

1879년 1월 한국 개신교인 첫 세례-올해는 140주년(옥성득)


 

 


관련 글들

2024.03.28

교회 부흥의 비결(조성돈)

자세히 보기
2024.03.25

생명 사랑을 실천한 문익환의 삶과 민주, 통일 그리고 평화 사상(이유나)

자세히 보기
2024.03.20

교회와 부교역자의 건강한 동역(신동식)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