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청년들이 교회를 떠나게 만드는 중요한 이유를 교회의 공감 능력 부족에서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기성세대가 주축을 이루는 교회가 청년을 향한 공감 능력을 잃어버린 것입니다. 지금 많은 교회들이 청년들이 겪는 고통과 사회의 여러 문제들에 공감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라떼는 말이지…”가 교회에서도 지배적인 언어 중 하나라는 것을 부인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청년들로 하여금 지금의 불확실한 시간을 견딜 수 있게 하는 것은 지지와 공감이지, 섣부른 조언이나 미래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아닙니다.(본문 중)

송태근(삼일교회 담임목사, 기윤실 이사)

주님이 우리의 아픈 맘을 아시네.

가까이서 우리의 아픔에 공감하시네.

우리 가운데 찾아오셨던 그 주님이,

우리의 모든 상황에 공감하시네.

– WELOVE “공감하시네” 듣기(클릭)

요즘 청년들이 많이 듣는 ‘공감하시네’라는 CCM의 후렴구입니다. 청년들이 왜 이 곡을 좋아할까요? 당연히 지금 그들이 마주한 현실이 녹록치 않기 때문일 것입니다. 기성세대도 다 경험해 본 어려움이라고 말하기엔, 지금 청년들이 겪고 있는 고통의 양상은 매우 다양합니다. ‘조금만 참으면 좋은 날이 올 거야’라는 위로는 전혀 통하지 않는 시대입니다. 그래서인지 이 곡에는 지금의 어려움이 확 바뀔 것이라는 기대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오히려 지금의 현실적 고통에 찾아오셔서 공감하시는 하나님에 대한 믿음이 담겨 있습니다.

 

Youtube 채널 WELOVE의 “공감하시네” 갈무리.

 

바꾸어 생각해 보면, 오늘날 청년들이 교회를 떠나게 만드는 중요한 이유를 교회의 공감 능력 부족에서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기성세대가 주축을 이루는 교회가 청년을 향한 공감 능력을 잃어버린 것입니다. 지금 많은 교회들이 청년들이 겪는 고통과 사회의 여러 문제들에 공감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라떼는 말이지…”가 교회에서도 지배적인 언어 중 하나라는 것을 부인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청년들로 하여금 지금의 불확실한 시간을 견딜 수 있게 하는 것은 지지와 공감이지, 섣부른 조언이나 미래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아닙니다.

학원복음화협의회가 펴낸 『청년트렌드리포트』(2017)에서도 이 점을 지적했습니다. 이 리포트의 “한국교회 젊은 층 활성화 방안에 대한 조사”를 보면 ‘문화적 선교 전략 마련’, ‘소통의 장 마련’, ‘비권위주의적 태도’가 청년 세대 이탈의 대안이라는 응답이 전체의 70% 가량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청년들과의 소통과 공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이에 반해 ‘학자금 지원’ 등의 복지 문제는 9%를 차지했습니다. 물론 청년들의 현실적인 문제를 직접적으로 해결하는 부분도 교회가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그러나 이 설문에 따르면, 청년들이 교회에 기대하는 것은 물질 문제의 해결보다도 청년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태도입니다.

청년들에게 공감하고 귀 기울이는 교회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목회자들의 태도 변화가 절실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를 비롯한 기성세대뿐만 아니라 비교적 젊은 세대 목회자들에게서도 성도들을 향한 공감보다 섣부른 판단과 정답 제시가 앞서는 모습을 많이 봅니다. 그리고 이러한 태도가 성도들에게도 전이되어 교회의 문화나 정서로 자리 잡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목회자들이나 교회가 마치 모든 문제에 대한 정답을 갖고 있다는 인상을 청년들에게 주고 있습니다. 이런 모습은 공감과 소통의 큰 장애물입니다.

사실 모든 문제를 판단하고 성경적인 정답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는 부담이나 압박감이 목회자들에게 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많은 문제들은 목회자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선다는 것을 겸허히 인정해야 합니다. 모든 문제와 이슈들을 목회자 홀로 따라잡기엔 매우 복잡한 사회가 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신학적으로 보아도, 삶의 고통과 문제에 대한 명쾌한 답을 제시하는 것이 교회나 목회자의 역할은 아닙니다. 우리는 이 점에서 욥과 그 친구들의 대화를 기억해야 합니다. 목회자나 교회가 고통당하는 청년들에게 욥의 친구들 같은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청년들에겐 목회자와 교회 어른들의 훈수가 아니라, 진정한 공감과 격려가 필요합니다.

한편, 청년과 공감하는 교회가 되기 위해서는 교회의 구조 문제도 고민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지금 대다수 교회의 의사 결정 체계는 청년들의 목소리가 반영되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교회의 주요 사안을 다루는 당회나 제직회가 모두 기성세대들을 중심으로 꾸려지기 때문입니다. 청년들의 목소리는 참고 사항에 그칠 뿐, 영향력이 미미합니다. 그래서 청년들은 늘 교회를 향하여 소통의 문제를 제기합니다. 교회를 향해 애정과 열심이 있는 청년들일수록, 교회에 뛰어넘을 수 없는 장벽이 있음을 깨달은 후에는 교회에 대한 기대를 접거나 교회를 떠나는 선택을 하게 될 것입니다.

이에 반해 사회에서는, 청년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려는 시도가 계속해서 이뤄지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이번 총선에서 20-30대 연령의 당선자가 13명이 나왔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물론 여전히 적은 수이긴 하지만, 지난 선거에 비하면 10명이 늘었다는 점에서 큰 변화임에 틀림없습니다. 정치에 무관심한 것으로만 비춰지던 청년들이 이제 정치 영역에서도 주체로 부상하기 시작했습니다. 사회에서는 이미 청년들이 지도력을 발휘하고 있는데 교회는 청년들을 지도할 대상으로만 여긴다면, 청년들은 점점 더 교회를 멀리하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교회의 의사 결정 과정에 청년들의 목소리가 반영되도록 제도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습니다. 청년들이 당회나 제직회의 구성원이 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주요한 회의에 청년 대표들이 참석하게 하고 언권을 보장하는 등의 제도 보완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공동의회 등에서 이미 이런 참여를 보장하고 있으며, 청년들이 교회에 관심이 없을 뿐이라는 반론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청년들은 자신들이 넘을 수 없는 거대한 벽이 교회에 존재한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그런 벽을 적극적으로 제거하지 않는 한, 청년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교회는 청년들의 목소리에 적극적으로 귀 기울이고, 더 나아가 청년들이 활동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야 합니다. 청년들이 기성세대와 함께 교회를 섬기고 세우는 하나의 큰 기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기성세대와 목회자들의 태도 변화와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기성세대가 주류를 이루는 대다수의 교회에게 이는 분명 쉬운 일이 아닐 것입니다. 그럼에도 교회의 미래를 위해서는 전향적인 변화가 절실합니다.

 

<좋은나무>글이 유익하셨나요?  

발간되는 글을 카카오톡으로 받아보시려면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친구추가’를 해주시고

지인에게 ‘공유’하여 기윤실 <좋은나무>를 소개해주세요.

카카오톡으로 <좋은나무> 구독하기

<좋은나무> 카카오페이 후원 창구가 오픈되었습니다.

카카오페이로 <좋은나무> 원고료·구독료를 손쉽게 후원하실 수 있습니다.
_
_
_
_

<좋은나무>에 문의·제안하기

문의나 제안, 글에 대한 피드백을 원하시면 아래의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편집위원과 필자에게 전달됩니다.
_

 


관련 글들

2025.01.08

인구 소멸 지역의 목회(이요한)

자세히 보기
2024.12.16

“워싱턴을 예수에게”(1980)와 “10‧27 한국 교회 200만 연합예배 및 큰 기도회”(배덕만)

자세히 보기
2024.12.11

교회 성폭력: 무너진 믿음, 다시 세우는 용기(박신원)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