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코로나 시대에도 종교가 계속 존재할 수 있을까? 존재한다면 어떤 자세로 나아가야 할까? 종교는 깨어진 관계를 다시 묶어 주고, 공동체성을 형성하며, 정서적-심리적 연대를 통해 사람들이 함께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음을 느끼게 해 주어야 한다. (중략) 종교 집단주의에 빠져 자신들의 이익만 추구하는 모습은 사회로부터 외면당할 수밖에 없다. 코로나 상황에서 성도들의 신앙생활이 나태해지고 영상과 온라인으로 예배를 드리면서 출석률이 감소할 것을 걱정할 것이 아니라, 새로운 위기에서 교회가 어떻게 공적인 역할을 감당할지를 고민해야 한다.(본문 중)

김승환(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와문화 박사)

 

불신 사회와 단절된 개인들

한바탕 커다란 폭풍이 휘몰아쳤다. 바람이 스쳐 간 자리마다 상흔이 남아 있고, 아직도 두려움이 가시지 않아 모두가 숨을 죽이고 있다. 코로나19. 난생 처음 겪는 팬데믹 상황에서 모두가 생존을 위해 몸부림친다. 확진자가 급증하고, 마스크가 동나고, 국경이 폐쇄되고, 사회의 모든 부분이 멈춰 섰다. 승자가 없는 싸움. 그 피해가 고스란히 시민들의 일상을 뒤덮었다.

코로나19의 긴 터널 끝에서 들어오는 한줄기 빛을 보며 우리는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하였다. 초·중·고등학교가 온라인 수업에서 오프라인 등교 수업으로의 전환을 기다리고 있으며,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각 지자체에서 내려졌던 다중이용시설들에 대한 행정명령들이 완화되었다. 지난봄,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social distancing)가 실시되면서, 회사들은 재택근무로 전환했고, 각종 모임과 만남들이 최소화되고 개인들은 빠르게 고립되어 갔다. 신천지를 통한 집단 감염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혹시나 하는 불안감에 빠진 시민들은 서로를 믿지 못하는 불신과 우울감을 호소했다. 누군가의 기침 소리에도 예민할 수밖에 없었던 우리. ‘사회적 거리두기’는 단순히 물리적인 공간만이 아니라 관계적, 심리적 거리까지 멀어지게 했다.

‘불신 사회’,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우리가 마주하는 현실이다. 낯선 타자에 대한 경계와 두려움이 커져 가면서 사람들과의 관계는 빠르게 냉각되었다. 그리고 자신의 생존과 안전을 위한 이기적 행동으로 서로를 의심하고 경계하는 사회의 도래는 우리가 풀어야 할 커다란 숙제를 남겼다. 바로 이기적 자아에서 이타적 자아로, 더 나아가 ‘공공적 자아’(public self)로의 인식 전환이라는 숙제다. 이런 인식 전환은 사회적 요구인 공동선(common good)을 추구하며 국가적 재난 사태 대응에 시민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게 하는 토대가 될 것이다. 나의 삶이 누군가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자각은, 개인의 자유와 행복을 최선의 가치로 여기는 신자유주의 정신에 맞설 유일한 무기이며 동시에 모두를 위한, 국난 극복의 전제 조건이다.

 

ⓒunsplash.

 

공적인 교회, 공적인 신앙.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도 종교가 계속 존재할 수 있을까? 존재한다면 어떤 자세로 나아가야 할까? 종교는 깨어진 관계를 다시 묶어 주고, 공동체성을 형성하며, 정서적-심리적 연대를 통해 사람들이 함께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음을 느끼게 해 주어야 한다. 새로운 사회로의 비전을 선언하고 희망을 지향하게 하는 힘이 종교에 있기 때문이다. 종교 집단주의에 빠져 자신들의 이익만 추구하는 모습은 사회로부터 외면당할 수밖에 없다. 코로나 상황에서 성도들의 신앙생활이 나태해지고 영상과 온라인으로 예배를 드리면서 출석률이 감소할 것을 걱정할 것이 아니라, 새로운 위기에서 교회가 어떻게 공적인 역할을 감당할지를 고민해야 한다. 교회는 교회가 아닌 사회를 위할 때 진정한 교회이기 때문이다.

로버트 퍼트넘(Robert Putnam)은 그의 유명한 저서 『나 홀로 볼링』(Bowling Alone, 페이퍼로드 역간)에서 미국 사회에서 수십 년 동안 시민참여와 시민사회 영역이 쇠퇴한 것을 관찰하면서, 민주주의의 건강성을 유지하는 데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 필수적이며 그 기초에 종교가 있다고 주장했다. 깨어진 관계들의 연결 고리를 종교에서 찾으려는 것이다. 코로나19 이후의 사회는 종교를 향해 개인들의 관계 회복을 위한 역할과 더 나은 사회를 향한 공동체적 비전을 요청할 것이다. 개인의 안녕과 공동체의 안녕은 무관하지 않으므로, 교회는 성도뿐 아니라 시민들의 삶을 응원하고 세우는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야 한다. 개인화(사사화)된 신앙이 아닌 공적인 신앙으로 일상을 살아가며, 또한 건강한 시민으로 설 수 있도록 사람들을 도와야 한다.

교회는 공적이다. 시카고 대학의 마틴 마티(Martin Marty)는 『공적인 교회』(Public Church)에서 역사 속에서 교회들이 공적인 역할을 해왔음을 지적하면서 교회가 정치 영역에 기여할 것을 주문한다. 종말론적인 하나님 나라의 관점에서 창조 세계를 돌보며, 이웃 사랑을 실천하고, 각자의 자리에서 소명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코로나19가 낳은 상호 불신과 각자 자신의 생존만을 추구하는 전쟁터와 같은 현실에서, 타자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의 한복판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그리스도인들은 ‘상처의 치유자’와 ‘관계의 회복자’ 그리고 새로운 ‘희망의 전파자’가 되어야 한다.

 

교회, 도시의 치유자가 되어야

코로나19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 단절과 함께, 타자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한 불신 사회를 초래했다. 만남이 사라진 사회, 배제와 거리두기가 일상이 된 도시의 풍경은 영혼 없는 거대한 몸처럼 무엇인가를 상실한 허망한 모습으로 변하였다. 공동체성이 사라지고 파편화된 개인만 남은 도시 사회에는 진정한 무엇이 필요하다. 진실한 관계 맺음과 타자를 향해 헌신된 삶으로 이끌 수 있는 모델이 요청된다.

예수는 도시의 치유자이다. 갈릴리 변방에서 자랐고 생활했던 예수는 도시의 한복판에서 고난당하시고 도시 밖에서 죽으셨다. 배제와 배신의 현장에서 예수는 고난의 한복판에서 그들을 위해서 눈물을 흘리셨다. 도시의 권력자들과 시민들에게 배척을 당하면서도 예루살렘을 바라보며 눈물을 흘리셨다. 예수님이 세우실 도시는 소돔과 고모라처럼 욕망에 사로잡힌 도시도, 니느웨와 로마처럼 권력에 노예가 된 도시도 아닌, 예수님이 중심이 되는 새로운 예루살렘, 곧 이 땅에 임할 하나님의 도시이다. 모든 민족과 방언이 하나님을 찬양하고, 다양성이 공존하며 조화를 이루는 하나님의 통치가 있는 공간이다.

현대 도시는 성공에 대한 개인들의 욕망들이 모여 현실화된 유토피아이며 이기적인 집단체이다. 인간의 합리성과 제도, 과학이 빚어낸 이 거대한 도시 공동체는 모두의 꿈을 현실로 만들어주는 요술 램프이다. 하지만 그 요술이 허구였음을 우리는 안다. 코로나19가 폭로한 우리 도시의 민낯은 불신과 두려움에 사로잡힌 얼굴이었다. 도시는 타자와의 진정한 연대 없이는 생존이 불가능한 곳임이 드러났다. 예수가 도시의 치유자인 것처럼, 이 땅의 교회는 도시의 치유와 번영을 위한 장소이어야 한다. 시민들에게 거룩한 것을 욕망하도록 안내하는 동시에 진실한 공동체를 구현해야 한다.

 

ⓒunsplash.

 

화해와 신뢰를 위한 공간

교회는 대안적인 도시 공동체이다. 수많은 타자들이 마주하는 공간인 교회는,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한 사귐과 만남, 소통과 대화의 완충지이다. 도시는 하나의 단일체가 아니라 공동체들의 공동체이다. 한 개인은 수많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다양한 소속감과 정체성 형성을 통하여 관계적 삶을 살아간다. 대안 도시로서 교회는 시민들에게 집과 같은 안정성과 소속감을 제공한다. 관계의 갈등과 긴장 안에 살아가던 사람들을 위해 다양성이 공존할 수 있는 환대의 장소를 제공한다. 환대란 타자에게 자신의 자리를 내어주는 행위이다. 두려움과 공포의 장막을 걷고 한 사람을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인정하면서 자리를 내어주는 것이다. 잠재적인 친교의 공간을 생산하고 한 사람의 존재를 용납하면서 우리의 사람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비존재를 존재로 보게 한다. 교회는 제3의 공간으로서 타자들을 환대하고 그들이 편안함과 행복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치체이다.

더 나아가 교회는, 모두를 향해 열려 있는 공간이며 동시에 세속적 욕망을 성화시켜 이기적 개인을 이타적 개인으로, 더 나아가 공공적인 개인으로 변화시키는 장소다. 욕망의 충돌이 도시의 갈등을 낳는다면, 교회는 욕망들을 잠재우고 정화하는 곳이다. 욕망을 무엇으로 정화할 수 있을까? 제임스 스미스(James K. A. Smith)의 말처럼 바로 예전(liturgy)이며, 윌리엄 캐버너의 말처럼 참여(participation)다. 예전은 초월적인 만남과 공동체적인 경험을 통해 자신을 넘어서게 한다. 세속의 자아를 내려놓고 타자에 대한 두려움과 거부에서 벗어나 세속의 정치가 구현하려 했던 진정한 공동체를 이루게 한다. 참여는 서로 안에 있는 자신을 보게 한다. 나와 그가 다르지 않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무엇으로든 경계를 나누고 거리를 두려 했던 우리는, 사실은 서로를 배제할 수 없는 존재이다.

이 땅에 구현될 하나님의 도시는 화해와 치유와 샬롬의 공간이자, 모든 민족과 방언이 공존하는 연대의 공간이다. 코로나19 이후 도시 교회가 일상의 치유자로 연대의 매개자 역할을 담당한다면, 교회는 모두를 향한 하나님의 선한 손이 될 것이다.

 

<좋은나무>글이 유익하셨나요?  

발간되는 글을 카카오톡으로 받아보시려면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친구추가’를 해주시고

지인에게 ‘공유’하여 기윤실 <좋은나무>를 소개해주세요.

카카오톡으로 <좋은나무> 구독하기

<좋은나무> 카카오페이 후원 창구가 오픈되었습니다.

카카오페이로 <좋은나무> 원고료·구독료를 손쉽게 후원하실 수 있습니다.
_
_
_
_

<좋은나무>에 문의·제안하기

문의나 제안, 글에 대한 피드백을 원하시면 아래의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편집위원과 필자에게 전달됩니다.
_

관련 글들

2025.01.08

인구 소멸 지역의 목회(이요한)

자세히 보기
2024.12.16

“워싱턴을 예수에게”(1980)와 “10‧27 한국 교회 200만 연합예배 및 큰 기도회”(배덕만)

자세히 보기
2024.12.11

교회 성폭력: 무너진 믿음, 다시 세우는 용기(박신원)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