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주 2-3회 발행되는 <좋은나무>글을 카카오톡으로 받아보시려면(무료),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친구추가’를 해주시고

지인에게 ‘공유’하여 기윤실 <좋은나무>를 소개해주세요

 

카카오톡으로 <좋은나무> 구독하기

 <좋은나무> 뉴스레터 구독하기

무기력해 보이는 질문에 조금의 힘을 보탤 책이 출간되었다. 기윤실 기독교윤리연구소에서 출간한 『일상의 평화를 일구는 공동체』는 일상의 폭력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며 기독교 윤리, 철학, 역사, 문화 등 각 분야 전문가 6인이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폭력과 평화 문제를 고찰한다. (본문 중)

 

이명진(기윤실 간사)

 

기독교윤리연구소 엮음 | 『일상의 평화를 일구는 공동체』 | 도서출판 기윤실

2024년 7월 31일 | 204쪽 | 14,000원

 

폭력이 만연한 일상을 살고 있다. 지난해 일면식도 없는 이들을 대상으로 무차별 흉기 난동이 일어났고, 최근 죄의식 없이 만들어진 딥페이크 영상은 개인 SNS도 범죄에 악용될 수 있음을 또다시 각인시켰다. 우리 주변 공동체인 학교와 직장, 군대, 그리고 교회에서도 괴롭힘과 성폭력 문제는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평화’를 강조하는 기독교의 가르침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

 

무기력해 보이는 질문에 조금의 힘을 보탤 책이 출간되었다. 기윤실 기독교윤리연구소에서 출간한 『일상의 평화를 일구는 공동체』는 일상의 폭력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며 기독교 윤리, 철학, 역사, 문화 등 각 분야 전문가 6인이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폭력과 평화 문제를 고찰한다.

 

기독교윤리 분야 성신형 교수는 분노와 갈등, 폭력이 가장 잘 드러나는 현상이 바로 사회적 혐오이며, 혐오와 배제 논리는 사회 속에서 구조화되어 사회의 작동 원리로 사용되었다고 진단한다.1) 해당 현상의 원인을 르네 지라르의 희생양, 누스바움의 수치심으로 설명하는 그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폭력을 줄여가는 감(減)폭력을 제안한다. 날이 갈수록 증가하는 폭력에 저항하는 현실적인 방식으로 ‘폭력의 감소’를 주장하는 것이다. 이는 평화를 위해 더 큰 폭력을 촉구하는 시대정신에 균열을 가져오며, 타자와 차이를 인정하지만 구분 짓기는 거부하는 ‘되기의 윤리’를 통해 현실이 된다.

 

구조화된 폭력을 철학적으로 분석한 목광수 교수는 현대 사회 폭력이 광범위하게 확장되면서 잘 포착되지 않아 효과적인 대응이 어렵다고 분석한다.2) 그는 문제의 원인을 현대 자본주의 사회 구조가 폭력을 확산하고 증폭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보며, 경쟁과 각자도생의 현실을 조장하는 사회 구조와 폭력이 어떻게 관계되는지 검토할 것을 촉구한다. 대안으로 제시한 ‘외치기’(Shouting), ‘바꾸기’(Switching), ‘보여 주기’(Showing), ‘자기 존중하기’(Self-respecting)는 일상에서 충분히 실천할 만하다.

 

자본주의를 통해 왜곡된 도시적 일상에 주목한 김승환 교수는 자본에 물든 현대 도시의 일상에서 가장 큰 숙제는 ‘불평등’과 ‘불균형’이라 규정한다.3) 이것은 인간의 도구화와 소외화와 관련이 있으며, 진정한 이웃을 얻지 못한 사람의 일상과 폭력의 발생은 결코 무관하지 않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일상을 하나의 예전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주장한 그는 평화와 화해의 에클레시아, 즉 왜곡된 도시의 시공간을 치유하는 평화의 공간으로의 교회를 제안한다. 이는 만연한 일상의 폭력에 끼어들 곳 없어 보이는 교회에게, 대안이 될 방향을 제시한 대목으로 볼 수 있다.

 

『일상의 평화를 일구는 공동체』 표지, ⓒ도서출판 기윤실

 

한국 기독교의 평화 이해 역사를 정리한 손승호 교수는 민족주의와 냉전, 민주화 이후 한국 기독교가 ‘폭력과 평화’를 어떻게 활용했는지 보여준다. 그의 평가에 따르면 한국 기독교인에게 평화란 악한 누군가와 싸워서만 얻을 수 있는 것이었고, 그 싸움에 폭력과 살인, 전쟁은 당연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었다.4) 문제는 해당 역사에 대한 뼈아픈 회개와 정의의 회복이 더디다는 것이다. 여전히 한국 개신교는 역사를 왜곡하고 가진 것을 지키는 데 급급해 보인다. 그럼에도 한국 교회는 앞으로 나아간다는 믿음을 잃지 말자는 저자의 제안에 소망을 가져본다.

 

박혜인 박사는 영화 <벌새>와 <헤어질 결심>을 통해 일상의 폭력을 성찰한다. <벌새는> 여중생의 눈으로 본 모순적인 구조적 폭력을 다루고 있고, <헤어질 결심>은 윤리적 폭력 너머로 사랑에 도달하고자 하는 이방인의 모습을 다룬다. 두 영화는 사뭇 성격이 달라 보이지만 자신을 중심으로 세계를 구성하는 자기동일성의 폭력에 저항하는 모습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저항의 방식은 폭력 너머로 ‘말 걸기’를 선택한 주인공들의 모습을 통해 드러나며, 이 모습은 이방인과 대화를 멈추지 않았던 예수님의 여러 만남과도 상통한다.

 

동양 고전에서 일상(日常)과 평화(平和)를 다룬 엄국화 박사는 동양 고전인 『대학』, 『주역』, 『중용』, 『맹자』에서 나타난 평화 개념을 다루었다. 동양 고전에선 평천하(平天下), 지천태(地天泰), 천지비(天地否), 치중화(致中和), 왕도정치(王道政治)가 한데 모여 우리가 이해하고 있는 평화 개념을 이룬다. ‘평천하’는 천하를 평정하고, 평준화하며, 공평하게 다스리는 개념이며, ‘지천태’는 상하 관계에서 평화가 이루어진 상태로, 배척하고 반목하는 상태에 있는 ‘천지비’와 연관된다. ‘치중화’는 마음속 평화의 극대화를 말하며, ‘왕도정치’에서 맹자는 인과 덕을 강조한다. 기독교 윤리와 다소 무관해 보이는 파트이지만 교회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들 역시 그 뿌리를 동양고전과 여럿 공유하는 점에서 함께 고려할 만하다.

 

갈수록 증가하는 폭력, 일상에 만연한 그것은 해결 방법 역시 간단하지 않다. 그 원인을 파악하는 데만도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 『일상의 평화를 일구는 공동체』에서 다각적으로 일상의 폭력과 평화를 고민한 흔적이, 감폭력을 향한 흐름에 작은 물줄기가 되기를 바란다.

 

 


1) 『일상의 평화를 일구는 공동체』, 20-21.

2) 위의 책, 47-48.

3) 위의 책, 67.

4) 위의 책, 112.

 

* <좋은나무> 글을 다른 매체에 게시하시려면 저자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기독교윤리실천운동(02-794-6200)으로 연락해 주세요.

* 게시하실 때는 다음과 같이 표기하셔야합니다.
(예시) 이 글은 기윤실 <좋은나무>의 기사를 허락을 받고 전재한 것입니다. https://cemk.org/26627/ (전재 글의 글의 주소 표시)

 

<좋은나무>글이 유익하셨나요?  

발간되는 글을 카카오톡으로 받아보시려면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친구추가’를 해주시고

지인에게 ‘공유’하여 기윤실 <좋은나무>를 소개해주세요.

카카오톡으로 <좋은나무> 구독하기

 <좋은나무> 뉴스레터 구독하기

<좋은나무>에 문의·제안하기

문의나 제안, 글에 대한 피드백을 원하시면 아래의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편집위원과 필자에게 전달됩니다.
_

<좋은나무> 카카오페이 후원 창구가 오픈되었습니다.

카카오페이로 <좋은나무> 원고료·구독료를 손쉽게 후원하실 수 있습니다.
_

관련 글들

2024.09.06

그런 기적이 엄마에게 있었다면(김보경)

자세히 보기
2024.08.02

인류애 풀 충전(김보경)

자세히 보기
2024.07.11

“자기를 잃어버린 여자, 내 이야기일까?”(김현아)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