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2018년 6월 16일(토) 서울영동교회에서, 기독교윤리실천운동 바른가치운동본부가 주최한 바른가치세미나 <일상, 매일 반복되는 보통의 일> 첫 번째 강의를 녹취, 요약한 것입니다. 전문은 기윤실 홈페이지(cemk.org)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일상의 철학’이란 주제로 작년 6월에 한국연구재단이 주최하는 인문강좌에서 강의했습니다. 그 원고가 올해 여름 책으로 나올 예정입니다. 또 같은 주제로 작년 12월 미국 칼빈 칼리지 철학과에서 강의를 했고, 올해 지난학기 칼빈 세미너리 Th.M 과정에서 강의했습니다. 일상의 철학은 제게 아주 생생한 주제입니다.

 

시간과 공간, 나와 타인

 

레비나스의 친구였던 소설가 모리스 블랑쇼는 “일상은 도망간다. 일상은 손에 쥐려고 하면 빠져나간다.”라고 했습니다. 마치 지평선이나 수평선에 다가가려 해도 자꾸 멀어지는 것과 같습니다. 이처럼 일상은 정확하게 정의하기 쉽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분명히 일상 가운데 살고 있습니다. 일상이 도대체 무엇인가 물어볼 수 있습니다. 이때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삼각형을 정확하게 정의를 내리는 것과 의미가 다릅니다. 다만 일상이 어떤 성격을 지니고 있는지, 일상을 이루는 삶의 조건과 계기는 무엇인지, 이런 것들을 어떻게 바라볼 수 있는지 이야기해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우리의 삶은 탄생부터 죽음까지, 시간의 축에 놓여 있습니다. 하이데거는 “인간은 세계 안에 던져진 존재다. 세계 안에 사는 존재다.”라고 했는데 이것을 두고 인간을 ‘피투성의 존재’, 즉 던져짐을 받은 존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부인할 수 없죠. 우리가 스스로 태어나겠다고 한 사람은 없으니까요. 하이데거도 던져진 근거에 대해서 철학적으로 해명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던져짐 받은 존재로서 다시 자기 삶을 되던져야 한다고 했습니다. 하이데거는 인간을 태어나면서부터 죽음을 향해 나아가는 존재라고 했습니다. 삶이 종결되는 순간을 ‘불가능의 가능성’이라고 했습니다. 죽음이 모든 가능성을 종결시키지만, 그것이 다시 가능성이 되어서 자기 존재를 던질 수 있게 한다고 했죠. 하이데거에게 있어서 죽음은 자유의 사건이었습니다.

우리 시간 축 뿐만 아니라 공간 축에서 살고 있습니다. 태속부터 시작해서 가정, 학교, 교회, 나아가 세계라는 공간 속에 살고 있습니다. 이렇게 살아가되 누구의 삶을 살아갑니까? 자기 자신의 삶을 살아갑니다. 각자가 자기 자신의 삶을 살아가되, 혼자 사는 것이 아니라 타인과 함께 살아갑니다. 한 마디로 시간 축과 공간 축 타인과 함께 살아가는 존재가 바로 나 자신입니다. 일상이 무엇이냐고 물을 때 당연히 시간, 공간, 나 자신과 타인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오늘 하루를 생각해보십시오. 어제 잠을 잤기 때문에 눈을 떴습니다. 계속 숨을 쉬고 있습니다. 씻고, 밥 먹고, 하고 싶은 일을 하다가, 이곳에 왔습니다. 이런 것 하나하나에 대해 생각하고 그것들에 대해서 물어보는 것, 그것이 바로 일상의 철학의 대상이 됩니다.

 

일상의 특징 반복성, 필연성, 유사성, 평범성, 일시성

 

일상이 가진 특성 중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반복성’입니다. 밥을 먹고, 잠을 자고, 사람을 만나고, 일을 하는 등 우리가 하고 있는 삶은 대부분 반복되는 것입니다. 반복해왔기 때문에 그 일들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만일 반복성이 없다면 너무 어렵게 살게 됩니다.

두 번째 특징은 ‘필연성’입니다. 가난한 사람이든 부자든 상관없이 밥을 먹어야 합니다. 권력이 있든 없든 잠을 자야 합니다. 누구도 이 필연성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삶의 내용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채워진다 하더라고, 자고 먹고 만나고 일하는 등 필연성에 종속되는 것은 동일합니다.

여기서 세 번째 특징이 나옵니다. 일상의 ‘유사성’입니다. 삶의 질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살아가는 모습은 누구나 비슷합니다. 네 번째 특징과도 연결되어 있습니다. 일상의 ‘평범성’입니다. 우리 하루하루의 삶은 평범합니다. 평범하다고 해서 의미 없거나 무질서한 것은 아니고 질서 속에서 이뤄집니다.

또 일상의 ‘일시성’이 있습니다. 저는 연구하고 글을 쓰느라 밤을 오래 지새웠습니다. 그 결과 17권 책을 썼고 100편 이상의 논문을 썼습니다. 하지만 그것들이 연구자들이 인용하거나 도서관에 꽂혀 있는 것을 빼고는 다 쓰레기통에 들어갈 것입니다. 모든 삶은 한 때 쏟았던 정열이 지나갑니다. “모든 것이 헛되다”고 한 전도서의 말씀(전1:2)이 맞습니다.

 

일상의 철학을 전개하는 방식 현상학, 해석학, 윤리학

 

제가 일상의 철학을 전개하는 방식은 세 단계입니다. 이 세 단계를 밟아가며 묻습니다. 첫 번째, 일상의 현상학입니다. 그냥 자세하게 들여다보는 것입니다. 비트겐슈타인은 <철학적 탐구>에서 “생각하지 말고 보라”고 했습니다. 두 번째, 일상의 해석학입니다. 일상의 의미, 구조 등을 파악하려는 노력하는 것입니다. 뭐 먹는다면 먹는다는 것이 무슨 의미? 세 번째. 일상의 윤리학입니다. 어떻게 할 것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 고민하는 것입니다. 제가 시도하는 일상의 철학은 이렇게 현상학, 해석학, 윤리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식탁에 한식 밥상이 차려져 있다고 해봅시다. 생각하지 말고 보십시오. 밥이 있고 국이 있고 반찬이 있습니다. 우선 먹을 마음이 있어야겠지요. 그리고 무엇을 먹을지 선택한다고 합시다. 국을 먹기로 했습니다. 숟가락을 들고, 국그릇으로 가서, 숟가락을 넣고, 뜨고, 들어서, 입까지 가져와서, 입을 벌리고, 넣고, 입을 닫고, 씹고, 맛보고, 삼켜야 합니다. 영어 ‘eat’라는 동사는 하나의 동작이 아니라 이렇게 많은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먹을 것을 먹습니다.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첫째는 먹을 수 있는 것, 즉 소화시킬 수 있는 것을 먹습니다. 두 번째는 먹어도 되는 것, 즉 문화나 종교적으로 허용되는 것을 먹고 금기시되는 것을 먹지 않습니다. 그런데 아주 중요한 사실이 있습니다. 여러분이 먹는 것은 여러분 자신입니까? 자신이 아닙니까? 누구도 제 살을 먹지 않습니다. 모두 자신이 아닌 것, 즉 타자를 먹습니다. 엄청난 의미가 있습니다. 밥상에 올라오는 것들이 언제 자기를 먹으라고 스스로 내어줬습니까? 어떤 경우든 타자를 먹습니다. 타자의 죽음을 바탕으로 우리 삶이 유지됩니다. 삶은 죽음의 터 위에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상은 선물입니다. 물론 우리의 폭력과 탐욕이 개입될 위험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타자들이 우리에게 주는 선물로 생각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먹는 것이 제대로 먹는 걸까요? 우리 자신이 먹는 존재라는 인식은, 다른 사람 역시도 먹는 존재라는 인식으로 이어져야 합니다. 내가 목마르면 물을 마셔야 하듯 다른 사람도 목마르면 물을 마셔야 합니다. 그런데 대신해줄 수 없습니다. 이 세상에서 대신 먹고 마시고 잠을 자줄 수는 없습니다.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먹고 마시고 잠자는 것이 나의 나됨과 관련 있습니다. 먹고 마시고 잠자는 것을 통해 나와 네가 구분됩니다. 타인이 배고프다고 내가 대신 먹을 수는 없습니다. 다만 먹을 것을 가져다 줄 수 있습니다. 내가 먹고 마셔야 하는 존재라는 인식은 동시에 타인도 먹고 마셔야 하는 존재라는 인정으로 확장되어야 합니다. 먹고 마시는 것이 나의 나됨의 기본조건이라면, 역시 먹고 마시는 것이 타인의 타인됨의 기본 조건입니다.

여기에 기독교의 정의 개념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성경은 정의에 대해서 먼저 가난한 자, 고아, 과부, 나그네가 억울함을 풀어주라고 합니다. 가부장적인 사회, 자국과 타국을 구분하는 사회, 빈부의 차별이 있는 사회에서 이들 네 부류가 억울함을 당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둘째 부자나 가난한 자나 외모로 취하지 말고 공정하게 대하라고 합니다. 일상에서는 이런 부분들이 무시되기 쉽습니다. 만일 우리가 먹고 자는 등 가장 기본적인 일상의 삶을 받아들인다면 정의의 문제를 가볍게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나의 밥상 있다면 타인의 밥상도 있어야 합니다.

 

일상, 주어진 선물

 

마무리를 하겠습니다. 우리는 모든 것을 결국 하나님이 주신 선물로 받아들입니다. 전도서 이야기를 두 가지 축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모든 것이 헛되다는 것이죠. 하지만 주어진 모든 것들을 하나님이 주신 선물로 알려 누리라고 합니다. 선물을 받으면 어떤가요? 기뻐하는 것이 먼저입니다. 그리고 감사해하죠. 그리고 잘 사용하면 됩니다. 일상도 그렇습니다. 즐거워하고 감사하고 하나님이 주신 뜻대로 사용하는 아닐까요? 즐거워하고 감사하고 나누는 것이 그리스도인의 삶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이글은 열매소식지 제265호에 실린 글입니다.

글쓴이_ 강영안 이사

열매소식지 제265호 기사 목록

01 일상의 철학 _ 강영안 교수 현재글
02 바른가치세미나 "젠더와 기독교"
03 난민세미나 "나그네를 사랑하라"
04 교회와 함께하는 자발적불편운동 7~8월 캠페인
05 기윤실 "좋은나무" 뉴스레터 발간
06 제5차 청년부채ZERO 캠페인 후기
07 종횡무진!! 정대표가 만난 사람
열매소식지 제265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