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독교 형성사』는 대중을 위한 책이 아닌 학술서다. 따라서 기독교, 한국 개신교 역사, 해당 시기의 한국사 등에 대한 기본 지식이 없는 사람이 읽기에는 좀 버거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니,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나는 한국 개신교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이 책을 읽어 보라고 권하고 싶다. 책을 통해 독자들은 북미 선교사들이 가지고 온 개신교가 한국의 정치, 문화, 언어, 종교와 어떻게 만나고 어떻게 상호 반응했는지 돋보기로 보듯 명확하게 볼 수 있을 것이다.(본문 중)

류대영(한동대 교수, 역사학)

 

옥성득, 『한국 기독교 형성사』

새물결플러스 | 2020. 2. 27. | 768쪽 | 42,000원

그동안 많은 서평을 쓰고 논찬을 했다. 그런데 곰곰이 생각해 보면, 학문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그런 일들이 사실은 자기 자랑의 또 다른 방식임을 알 수 있다. 물론 논문과 책을 내는 일도 다르지 않다. 서평을 쓰거나 논찬을 하고 나면, 늘 후회가 되고 마음이 편치 않은 것이 그 때문이었다고 생각된다. 하여, 얼마 전 나는 다른 사람의 글이나 책 평가하는 일을 다시는 하지 않겠다고 결심했다. 이번에 기윤실로부터 옥성득 교수의 새 책 서평을 부탁받고 고사하다가 결국 글을 쓰게 된 것은 약간의 의무감 때문이다. 옛 친구가 좋은 책을 내었으니 소개하여 많은 사람이 읽게 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생각이 든 것이다. 이 글은 일종의 추천사이니 좀 더 비평적인 평가는 다른 전문가들의 의견을 참고하기 바란다.

옥성득 교수는 한국 개신교 초기 역사에 관한 최고 권위자 가운데 한 명이다. 그가 영문과 학부생 시절부터 이만열 선생님 문하에 들어가 선교사 자료를 읽기 시작했으니, 벌써 35년 넘게 한국 개신교 역사를 공부하고 있는 셈이다. 원효로 자취방에서 해석은커녕 무슨 글자인지 알기도 어려운 헨리 아펜젤러의 손 편지 복사본을 해득하느라 끙끙대던 그의 모습이 생생하다. 그런 과정을 거치며, 그는 초기 미국(북미) 선교사 및 영미 성서공회 관련 일차자료를 가장 많이 읽고 정리한 학자가 되어, 그 분야에서는 비견할 수 없는 학문적 업적을 남겼다. 한국 개신교 역사 연구의 중심지는 한국이다. 그것은 한국문학과 한국역사 공부의 중심지가 한국인 것과 다르지 않다. 그만큼 한국에 연구자가 많고 자료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물론 해외에도 한국의 역사, 문학, 종교를 공부하는 몇몇 훌륭한 연구자들이 있지만, 학문이 개인이 아니라 집단에 의해 발전하는 것임을 생각할 때, 그들의 기여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런 점에서 옥성득 교수는 매우 예외적인 학자라고 할 수 있다. 그는 해외에 있으면서도 국내 연구에 전혀 뒤지지 않음은 물론이고 오히려 많은 선도적인 연구를 해왔다. 무엇이든, 그가 쓴 글과 책은 믿고 읽어도 된다.

『한국 기독교 형성사』는 옥성득 교수의 35년 연구 역량을 집결한 매우 탁월한 연구서다. 그동안 옥 교수의 공부는 크게 세 가지 분야로 진행되었다. 첫째, 호러스 언더우드나 사무엘 모펫, 그리고 영미 성서공회 등에 관한 일차자료 편집·번역서; 둘째, 평양대부흥이나 초기 한국 개신교 역사에 관한 통사류 혹은 대중적 서적; 그리고 셋째, 한국이나 해외에 발표한 여러 학술 논문들이 그것이다. 이번에 출간한 『한국 기독교 형성사』는 박사학위 논문(2002)을 보완하여 출간한 영문 단행본(2013)의 한국어판이다. 굳이 말하자면 이 책은 세 번째 부류에 속한다고 할 수 있지만, 사실은 세 분야의 연구 역량이 집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책의 기본 틀은 박사학위 논문에서 완성되었지만, 그 이후 수정 및 보완하여 완성된 것이다. 약 18년 전에 쓴 박사학위 논문에 기초한 책이라 너무 오래전의 연구 결과가 아닌가 싶을 수도 있지만, 그만큼 공을 많이 들였다는 뜻이기도 하다. 미국에서 학술서 한 권을 주요 출판사를 통해 내는 일, 특히 박사학위 논문을 수정하여 단행본으로 내는 일이 얼마나 힘든지 아는 사람이라면, 박사학위 논문과 원본 영문 책 사이의 10년 간격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것이다.

ⓒ새물결플러스.

 

이 책은 『한국 기독교 형성사』라는 제목이 붙어서 통시적(通時的; diachronic) 역사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공시적(共時的; synchronic) 성격을 가진 역사 연구다. 물론 각 장은 통시적 접근을 하지만, 7개의 장들은 각각 독립적 주제를 다루며, 서로 통시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 책은 숲이 아니라 여러 나무들을 자세히 보여줌으로써 숲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도와준다. 책의 주된 관심은 일본 강점 이전의 초기 한국 개신교 역사에서 선교사들이 전한 개신교와 당시 한국의 종교전통이 어떻게 만났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책은 다음과 같은 주제들을 다룬다. ‘하나님’이 어떻게 개신교의 신(神) 명칭으로 자리 잡게 되었는가(제1장). 정감록 해석과 십자가 사용이 개신교 수용에 어떻게 기여했는가(제2장). 샤머니즘과 축귀(逐鬼) 의식을 선교사 및 개신교인들이 어떻게 받아들였는가(제3장). 유교적 조상제사가 어떻게 여겨졌고 기독교적 추도예식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제4장). 초기 예배당들은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떤 특징이 있는가(제5장). 한문 및 한글 기독교 문서(전도서, 성경, 찬송)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제6장). 그리고 길선주의 도교적 배경은 대부흥 과정에서 어떻게 드러나고 어떤 역할을 했는가(제7장). 이런 주제들을 다루기 위해 저자는 많은 일차자료(영문, 한글, 한문)를 섭렵했는데, 그 분량과 범위의 방대함이 놀랍다. 거기에 더하여 다양한 해외의 이론 및 국내외 연구 결과를 참고했다. 자료, 특히 일차자료의 충실한 검토야말로 역사 연구의 완성도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임을 생각할 때 이 책은 역사 연구의 좋은 모범을 보여 준다 하겠다.

『한국 기독교 형성사』는 대중을 위한 책이 아닌 학술서다. 따라서 기독교, 한국 개신교 역사, 해당 시기의 한국사 등에 대한 기본 지식이 없는 사람이 읽기에는 좀 버거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니,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나는 한국 개신교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이 책을 읽어 보라고 권하고 싶다. 책을 통해 독자들은 북미 선교사들이 가지고 온 개신교가 한국의 정치, 문화, 언어, 종교와 어떻게 만나고 어떻게 상호 반응했는지 돋보기로 보듯 명확하게 볼 수 있을 것이다. 풍문으로, 교회 모임에서, 혹은 인터넷에서 접할 수 있는 정보로 알 수 있는 것과 엄밀한 학문탐구를 통해 알 수 있는 것 사이의 거리는 아득히 멀다. 한국 개신교 역사를 오랫동안 공부한 나는 이 책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우고 깨달았다. 책이 다루는 주제들에 관해 문외한이 아니었던 나조차도, 막상 책을 읽으며 그동안 몰랐던 것이 많았음을 새삼 알게 되었다. 아마 대부분의 일반 독자들은 이 책을 읽으며 이루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새로운 역사적 사실을 접하게 될 것이다. 공부의 시작은 자신의 무지를 깨닫는 데 있다. “오늘의 것 가운데 과거에 씨앗이 뿌려지지 않은 것은 없다.” 역사학의 오랜 금언(金言) 가운데 하나다. 과거를 알면 오늘을 이해할 수 있으며, 미래를 짐작할 수 있다.

한국 개신교는 이제 지도자들의 자기반성과 자기개혁을 통해 새로운 모색을 도모하기에는 너무 깊은 수렁에 빠져 있다. 평신도들의 대대적인 자각과 깨어있는 행동만이 희망이다. 자각은 정체성의 인식에서 오며, 올바른 정체성은 자신의 역사적 좌표(座標)를 정확히 깨닫는 데로부터 시작한다. 역사적 정체성을 알기 위해서라면, 좋은 역사책 읽는 것보다 더 좋은 길은 없다. 『한국 기독교 형성사』는 한국 개신교의 오늘이 걱정되고 내일이 궁금한 모든 사람이 읽어야 할 책이다.

<좋은나무>글이 유익하셨나요?  

발간되는 글을 카카오톡으로 받아보시려면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친구추가’를 해주시고

지인에게 ‘공유’하여 기윤실 <좋은나무>를 소개해주세요.

카카오톡으로 <좋은나무> 구독하기

<좋은나무> 카카오페이 후원 창구가 오픈되었습니다.

카카오페이로 <좋은나무> 원고료·구독료를 손쉽게 후원하실 수 있습니다.
_
_
_
_

<좋은나무>에 문의·제안하기

문의나 제안, 글에 대한 피드백을 원하시면 아래의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편집위원과 필자에게 전달됩니다.
_

관련 글들

2024.12.27

한 그리스도인 비평가의 『채식주의자』 읽기(정영훈)

자세히 보기
2024.12.23

나라, 권력, 영광(유정훈)

자세히 보기
2024.12.20

나는 죽는다(김보경)

자세히 보기